우리가 다룰 이야기 「거꾸로 읽는 세계사」 - 유시민
새로운 관점으로 읽어보는 세계사 💬
|
|
|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는 역사들이 쌓여 이루어진 모습입니다. 이전의 우리, 그리고 몇십년 전의 이야기들이 다르다면 지금 우리는 아마 또 다른 모습으로 살고 있을 것입니다. 나비효과처럼 지금 벌어지는 여러가지 사건들도 나중에는 어떤 결과를 불러 일으킬지 알 수 없습니다.
세계사의 여러 사건 중, 지금 현대에 가장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되는 20세기 11가지 사건을 다룬 책에서 우리는 이상하게 얽혀있는 관계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현재에 영향을 끼친 여러가지 일들은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드레퓌스 사건부터 냉전의 종결까지 다채로우면서 세심하게 20세기를 그려놓은 책에서 우리는 역사를 거꾸로 볼 수 있는 자세를 지닐 수 있습니다. 상징적인 정치인의 등장일 수도, 혹은 어쩔 수 없이 일어난 세계사의 흐름일 수도 있는 사건들은 우리가 지금의 정치/경제/사회를 어떻게 대해야하는지 고민해보게 합니다. 삶을 살아가면서 겪게 될 많은 역사적 순간을 우리 함께 세심하게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해요. |
|
|
1. 「지리의 힘 : 지리는 어떻게 개인의 운명을, 세계사를, 세계 경제를 좌우하는가」 - 팀 마샬
|
|
|
‘우리 삶의 모든 것은 지리에서 시작되었다’ 책 서문에 있는 문장입니다. 인간의 삶과 역사는 늘 ‘땅’에 의해 형성되어왔습니다. 전쟁, 권력, 정치 등 모든 발전의 근원은 지리적 특성입니다. 이 특성을 기반으로 현재 모든 국가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4천년만에 대륙에서 해양의 강국를 꿈꾸는 중국, 지리적 축복과 전략적 영토 활용으로 세계 최강국이 된 미국, 이념적과 지리적 분열이 있는 서유럽, 가장 넓은 나라지만 지리적 요소를 차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러시아, 강대국들에 둘러싸여있는 한국,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과 군사적 동맹을 맺은 일본, 내륙이 텅 비어있는 라틴 아메리카, 인위적인 국경선으로 늘 분쟁을 하고 있는 중동 등 다양한 국가와 지리적 특성을 연결짓습니다.
지리라는 가장 본질적인 관점에서 세계 정세를 살펴보며 여러 대립과 관계들의 원인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
|
“신이시여, 어찌하여 우크라이나에 산맥을 펼쳐두지 않으셨나이까?” |
|
|
✨ WRITER : 팀 마샬
🎨 GENRE : 사회학
📜 PAGE : 368쪽
🎫 참고해도 좋아요
'유튜브 사피엔스 스튜디오 ' CLICK!
한눈에 보는 '지리의 힘' 이야기 |
|
|
인간의 문명은 도시를 위주로 발달했습니다. 인간의 역사를 이해하려면 삶의 터전이자 시작인 도시라는 공간부터 살펴봐야합니다. 이 책은 아테네, 로마부터 파리, 프라이부르크까지 18개 도시로 떠나는 역사기행입니다. 저자는 직접 여행하기도 때론 오래 살아보기도 하며 그 도시에 대해 느껴왔는데요, 특히 책에 나오는 18개 도시는 유럽사 뿐 아니라 세계사의 중심에도 하나의 큰 역할을 했던 곳들입니다.
그러한 이야기들을 담아 시대순으로만 보면 헷갈리던 유럽사를 도시마다 깊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역사가인 저자는 도시를 그 나라에서의 위치와 세계사와 어떻게 관련있는지 세심하게 전달하며 한 도시의 전성기에 주목합니다. 도시가 가장 빛나던 때를 살펴보며 우리는 이 도시의 흐름과 역사, 현재를 다시 돌아보게 됩니다.
코로나가 거의 끝나가는 요즘 유럽이 다시 궁금해진다면, 이 책을 통해 만반의 준비를 잘 해두도록 해요. |
|
|
"“내 직업은 역사가다.
문화유산이 풍부한 유럽의 도시에 내가 쉽게 매료되는 데는 직업적 이유도 있다고 생각한다."
|
|
|
✨ WRITER : 백승종
🎨 GENRE : 문화
📜 PAGE : 392쪽
🎫 참고해도 좋아요
유튜브 '함께하는 세계사' CLICK!
파리의 19세기 재개발 이야기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다음 시간에는 멤버들이 <거꾸로 보는 세계사>에 대해 나눈 이야기를 정리해드리려고 해요.
1. 역사적 사건을 바라보는 개인의 시선
11가지 역사적 사건 중 현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사건,
인류의 진보와 문명의 발전
2. 역사적 사건을 현실에 적용
위 사건을 통해 얻은 교훈
3. 역사를 통해 새롭게 안 사실
책을 통해 얻은 생각의 변화, 새로운 이해
여러분도 궁금하면 책을 읽고 함께하는 것은 어떨까요.
그럼 2주 후에 만나요.
|
|
|
예술과 관련해서 추천해줄 책이 있거나 피드백이 있으시면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