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하다는 착각⚔️ '잘굴독' 10월 뉴스레터 ![]() 샌델이 보는 능력주의는 곧 '세속적 성공과 도덕적 자격의 결합'이다. 능력주의가 공공선인 사회에서 노력과 능력은 개개인의 부와 성공에 대한 알리바이가 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세속적 성공을 이룬 삶은 겸양을 기를 필요가 없고 가난한 이들은 비난의 화살을 스스로에게 돌린다. 그의 표현에 따르면 "우리 삶에 대해 우리가 져야 할 책임이 크면 클수록 우리 삶의 결과에 대해 찬양하거나 비하할 소지 또한 커진다." 마이클 샌델은 종교의 섭리론과 역대 미 대통령들이 조성한 담론들을 통해 현재의 능력주의 사회가 형성된 배경을 분석하고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이 시대에 공정이란 무엇일까. 공정함에 대한 집착과 능력주의에 대한 의심이 함께 커지는 혼란함 속에서, 마이클 샌델이 여러 질문과 답들을 던졌다. 이 화두를 이어받아 의미 있는 논쟁들에 불이 붙길 바란다. 우리가 나눈 언어들💌 1. 책에 대한 첫인상
➕일반인의 의견이 파급력이 약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진 않았을까? 👉반대되는 의견이 없는 것이 능력주의의 산물. 2. 저자의 능력주의 의견에 동의 여부
➕사회적 약자전용 복지에 대한 생각? 👉세금을 내는 청춘들에게 그에 맞는 보상이 부족하다면 허무주의를 겪을 가능성 존재. 👉사회적 기여가 없더라도 존엄을 받아야한다. 3. 블라인드 채용에 대한 생각
4. 조건의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필요조건?
➕미래를 위한 교육 👉관련된 교육으로 민주 시민 교육 시간이 현재는 교원들에게만 온라인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있는데, 교과과정중에 있는 게 아니라 필수교과로 넣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유럽에서는 학교에서 수영을 졸업 조건으로 두는 게 충격적이었다. 그런 삶의 필수요건들을 우선적으로 중요한 교육으로 해야한다.
👉사회적으로 여러 직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높이는 부분이 필요하며 그 역할을 언론이 해야한다..
👉우리나라가 제너럴리스트를 선호한다고하지만 최근에는 스페셜리스트가 각광받고 있는데, 스페셜리스트가 될 기회를 준 적이 없다. but 정신적으로 미숙하기에 어린 시절에 받아들이기에는 힘이 들 수도 있다. 자신에게 가이드라인을 주지 않았던 것에 대한 원망도 가능.
5. 오징어게임
우리가 좋아한 언어들💌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존중" 배려, 이해, 존중. 낯설지 않은 단어들이지만 우리는 과연 이를 얼마나 지키며 살아가고 있을까? 지독히도 우리는 조건적 존중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성격이 좋으니까, 외모가 멋있으니까, 돈이 많으니까 등 조건을 만들어내는 걸 즐겨한다. 그러기 때문에 그 사람 자체로서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하다. 특히나 혐오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에겐 더더욱. 같이 보면 좋을 영화💌 비즈니스 문의 yoongg0121@naver.com 2021.10.11 |
그 어느 때보다 지성과 식견이 필요한 세대